정부가 경기활력 제고를 위한 건설투자 확대를 강조하는 등 SOC 투자 확대로 정책 방향성을 선회하였지만 실질적인 사업 집행까지 시차가 존재함. 더욱이, 주택 부문을 중심으로 한 건설경기의 빠른 하락세를 만회하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됨.
국내외 거시경제의 부진도 지속되어 민간 산업 부문의 건설 투자 회복이 쉽지 않을 것으로 보임.
이에 연구원에서는 리스크가 확대되고 있는 내년도 건설 및 부동산 시장을 진단하고 전망코자 함. 이를 통해 정책과 산업계 측면의 과제를 도출하고자 금번 세미나를 마련하였음.
ㅇ 세미나명 : 2020년도 건설 부동산 경기 전망 세미나
ㅇ 일 시 : 2019. 11. 5(화) 14:00∼17:00
ㅇ 장 소 : 건설회관 2층 중회의실
ㅇ 주 최 : 한국건설산업연구원
http://www.cerik.re.kr/report/seminar/detail/2310
건산연 보고서 안에 보면 3번의 신도시 개발과 분상제 실시로
우리가 그렇게 알고 싶은 *서울집값의 변동*을 나타내주는 그래프가 있음
@3기신도시,분양가 상한제등으로 인한 대기수요증가@
3기신도시 공공주택상한제로 분양과 4/28로 민간아파트 분상제 유예조치가
끝나니 대기수요 증가는 3기경우 공공주택 분상제 실시로 주변 기존신도시
현매매가보다 분양가가 훨씬 싸기에
*분양자격 취득*을 위해 전세가는 오르고 원룸,고시원에
위장전입하는 사례가 있을 것으로 봄ㅎ
울나라 주택가격 급등과 대처하는 신도시개발과 분상제실시의 원인은
@건설사 해외수주 급감과 해외적자 급증@으로 인한 건설사의 삐끼질이 원인으로 봄ㅎ
확대되면서 서울집값은 안정세를 유지
부가적으로 08,09년에 걸쳐 리먼사태와 글로벌 금융위기도
경매대란사태도 동시에 겹치니,,
또 10년전후 해외건설사 과잉경쟁으로
@해외건설적자@ 약12,3조원 발생!
명박이땐 4대강사업등으로 퍼주다가
그네정권때 구조조정을 하며 내실을 키워야 했음에도 젤 쉬운 거로 ㅉㅉ
갱환이가 집값에 대한 규제폐지와 더블어 분상제폐지,묻지마대출,
주열이와 3번 만나 기준금리 2.5->1,25%내리면서
@빚내서 집사라!@정책 실시로 집값은 전국적으로 난리법석이었쥬ㅉ
정권이 바뀌고 18년 집값이 12% 급등하자
18/12/19 내논 게 3기신도시 발표지유 ㅎ
다른 신도시와 달리 경쟁력이 크죠
3기신도시로 서울집값을 못잡는다 하지만
1기신도시 땐 공급물량으로
2기신도시 땐 공급물량과 분양가상한제로
했으나 현재는 부동산 삐끼로 인해 확실하게
서울집값 잡기 미흡한 감이 있었다 ㅎㅎ
이번에 내논 게 @보유세기준 현실화와 선진국 수준에
세율을 점층적인 올리고 있죠ㅎ
거기에 더블어 20년 예대율 규제,21년 DSR40%,LTV40%
견딜 수 있겠나유?ㅎ
지금 왕숙지구를 보면 그주위의 많은 공사들
GTX-B(서울역),4호선(경기지역에선 3,4호선 연결이 핵심)
연결과 왕숙 남부의 지방도 확장공사 두개.한강건너는 수석대교공사
북부 강변도로 확장및 토평 입,
앞서 교통먼저 해결하려는 의지로 보임,,
@왕숙지구 제2판교 자족도시 16만이상의 일자리 계획@
지금 아파트값 오른다에 급급하지 마시고 공공분양 분상제에
따른 분양을 생각하는게 옳치 않나 생각되고
요지는 맨나중에 분양해도 나가니 아직 초이동쪽이나
행주대교 옆 고촌및 전호리가 부동산애들이 집이 모자르다
난리치면 3기 신도시로 추가 발표 할 것 같음 ㅎㅎ
지금은 집,아파트 살때가 아니라 지켜보면 전세보증 되는
아파트나 주택에 살며 현찰을 모을때가 아닌가 생각됨
@지금까지 제생각이고@ 제 글을 읽는분들은
결정과 판단은 자기몫이라 생각됨 ㅎㅎ
dlwhddud님의 평가
'정치경제법률 > 그들은' 카테고리의 다른 글
’19년 주택 인·허가 49만 호, 착공 48만 호, 분양 31만 호, 준공 52만 호 (0) | 2020.02.01 |
---|---|
공동재보험(Coinsurance) 도입방안 (제20-05호) (0) | 2020.01.31 |
2020년 미국 경제 전망과 리세션 위험점검- 우리은행 (0) | 2020.01.30 |
아파트 재건축 이주세대 분석과 전세시장 영향 (0) | 2020.01.30 |
포용(包容)적 국가교통망 구상 (0) | 2020.01.30 |
해외건설 죽쓰자 두환이때는 물가안정이 최우선이라
꿈도 못꾸고
물태우때 89년12월? 77년부터 해왔던 분상제폐지
원가연동제 실시ㅋ
주택가격은 89,90년 정점 25%까지 급등하자
내논게 89/6월 1기신도시 계획발표와 2백만호 공급계획 ㅎㅎ
97년까지 1기신도시 공급으로 인해 서울집값는 변동이 노!
근데 97년 해외건설수주 170억$ 18년 IMF로 해외수주
급감하자 건설사 살리려구 @분양가대한 모든 규제 폐지@ ㅉ
98년 주택가 일시급감 하지만 그후 차차 올라 02년 상승율 22,5%급등
그때 나온게 03년 2기신도시 발표, 좀 하락하다 재상승 측면이 보이자
05년/3월 공공주택분상제 실시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