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판 뉴딜」 추진방향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는 관계부처 합동으로 「한국판 뉴딜」 추진방향을 5.7.(목) 발표했다.
- 감염병 충격으로 경제위기와 경제·사회구조 변화 동시발생, 코로나 위기를 혁신의 기회로 활용하기 위한 특단의 대책이 필요함.
- (디지털 인프라 구축) △ 데이터 수집·활용 기반을 구축함 △ 5G 인프라 조기에 구축함 △ AI 데이터 인프라를 확충할 계획임
- (비대면 산업 육성) △ 비대면 서비스 확산 기반을 조성함 △ 클라우드 및 사이버 안전망을 강화할 계획임.
◆2020년 3월 국제수지(잠정) 한국은행은 2020년 3월 국제수지를 5.7.(목) 발표했다. - 2020년 3월 경상수지는 62.3억달러 흑자를 기록함. - (상품수지) 흑자규모는 전년동월 83.4억달러에서 70.0억달러로 축소됨. - (서비스수지) 적자규모는 지식재산권사용료수지 개선 등으로 전년 동월 21.0달러에서 14.6억달러로 축소됨. - 금융계정은 57.7억달러의 순자산이 증가함. |
◆2019년 연간 지출 가계동향조사 결과 통계청은 5.7.(목) 2019년 연간지출 가계동향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 지출부문과 소득부문을 통합해 새롭게 개편한 2019년 가계동향조사 연간 지출부문에 대한 결과임. - (전국가구) 가구당 월평균 소비지출은 245만 7천원임. -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 소비지출은 278만 4천원임. - 가계동향조사 연간 지출 결과는 통계청 홈페이지와 국가통계포털로 제공함. |
◆2020년 1/4분기 시도 서비스업생산 및 소매판매 동향 2020년 1/4분기 시도 서비스업생산 및 소매판매 동향 통계청은 5.7.(목) 1/4분기 시도 서비스업생산 및 소매판매 동향을 발표했다. - (시도 서비스업생산) 2020년 1/4분기 서비스업생산은 전년동분기대비 서울은 증가했으나, 14개 시·도에서 감소함. - 제주(-10.3%), 대구(-4.4%), 경북(-4.3%) 등은 정보통신, 숙박·음식점·운수·창고 등에서 부진해 감소율이 높았음. |
◆「월간 재정동향」2020년 5월호 (‘20.3월말 기준) 기획재정부는 「월간 재정동향」2020년 5월호를 발표했다고 5.7.(목) 밝혔다. - (총수입) 누계(1~3월) 총수입은 119.5조원으로, 전년동기대비 1.5조원 감소함. - (총지출) 누계(1~3월) 총지출은 164.8조원으로, 전년동기대비 26.5조원 증가함. - (재정수지) 적극적 재정운용 등에 기인하여 누계(1~3월) 통합재정수지는 45.3조원 적자, 관리재정수지는 55.3조원 적자임. - (국가채무) 3월말 기준 중앙정부 채무 731.6조원으로 전월대비 6.3조원 증가함. |
◆2020년 4월말 외환보유액 □ 2020년 4월말 우리나라의 외환보유액은 4,039.8억달러로 전월말(4,002.1억달러) 대비 37.7억달러 증가 ㅇ 외화자산 운용수익 증가 등에 기인 □ 외환보유액은 유가증권 3,615.1억달러(89.5%), 예치금 312.3억달러(7.7%), 금 47.9억달러(1.2%), SDR 32.6억달러(0.8%), IMF포지션 32.0억달러(0.8%)로 구성 |
◆2020년 3월 온라인쇼핑 동향 통계청은 「2020년 3월 온라인쇼핑 동향」을 5.6.(수) 발표하였다. - (2020년 3월 온라인쇼핑 동향) ▲(온라인쇼핑) 총 거래액은 12조 5,825억원으로 전년동월대비 11.8% 증가, ▲(모바일쇼핑) 거래액은 8조 4,673억원으로 전년동월대비 19.2% 증가함. - (2020년 1/4분기 온라인 해외 직접 판매 및 구매 동향) ▲(해외직접판매액) 1조 4,855억원으로 전년동분기대비 18.8% 증가, ▲(해외직접구매액) 9,793억원으로 전년동분기대비 8.1% 증가함. |
◆주거실태조사를 통해 본 최근 10년(2008~2018)간 주거양극화 추이 국토연구원은 본 보고서에서 2008년부터 2018년 주거실태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주거서비스(주거면적, 1인당 주거면적, PIR, RIR) 및 주택자산(주택가격, 평당 주택가격) 상·하위 20%가구의 5분위분배율을 통해 최근 10년간의 주거양극화 추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1. 서론 2. 주거양극화의 정의와 측정방법 3. 최근 10년 주거양극화 추이 4. 주거 상·하위계층별 특성 변화 5. 결론 및 시사점 |
◆5월 금융시장 브리프 우리금융경영연구소는 본 보고서에서 5월의 금리, 주가, 환율 등 금융시장을 전망하였다. - 5월중에는 금융시장 위험요인(실물지표 부진 심화, 미중 무역갈등 재현 우려, 위험자산가격 고평가 부담)이 개선요인(경기대응 강화, 경제활동 재개) 보다 다소 우세할 것으로 보여 주가지수, 원화가치, 국고채 금리가 4월말대비 소폭 하락할 전망임. - 다만, 5월 가격하락 전망은 금융시장의 중장기 회복 국면에서 나타나 는 일시적 조정으로 판단됨. 6월 이후에는 하반기 경기개선 기대를 선반영하여 위험자산가격이 추세적인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됨. |
KDI경제정보센터 |
◆주간 아파트가격동향 (20200504 기준) 한국감정원이 2020년 5월 1주(5.4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을 조사한 결과, 매매가격은 0.03% 상승, 선제가격은 0.04% 상승했다,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 동향 [전국 : 0.03%] 전국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주 상승폭을 유지했다. 수도권(0.06%→0.06%)은 상승폭 동일, 서울(-0.07%→-0.06%)은 하락폭 축소, 지방(0.00%→0.00%)은 보합 유지(5대광역시(0.00%→0.00%), 8개도(-0.01%→0.00%), 세종(0.04%→0.08%))했다. 시도별로는 인천(0.22%), 경기(0.10%), 대전(0.08%), 세종(0.08%), 충북(0.08%) 등은 상승, 강원(0.00%)은 보합, 제주(-0.12%), 서울(-0.06%), 경북(-0.04%), 부산(-0.04%), 광주(-0.03%) 등은 하락했다. |
한국감정원 |
◆2020년 5월 주택사업경기실사지수 “5월 전국 HBSI 전망치 60.7, 전월 대비 18.6p(↑) 상승했으나, 사업여건은 여전히 비관적 - 서울(80.7), 대전(87.5), 대구(80.0) 전망치 20p이상 상승하며 80선 회복 – - 5월 자금조달 HBSI 전망치 66.2로 주택사업 자금조달 어려움 지속 – □ (주택사업경기실사지수, HBSI) 5월 전국 HBSI 전망치는 60.7로 전월대비 18.6p(↑) 상승. 전월 전망치와 실적치는 코로나19 영향 등으로 매우 낮았으나, 최근 코로나19 확진자가 크게 줄면서 나타난 기저효과로 주택사업경기를 낙관하기는 어려운 상황임. |
주택산업연구원 |
◆[5.8] 미국 하원 의장, 코로나 19 5차 대책 개요 발표 등 ■ 주요 뉴스: 미국 하원 의장, 코로나 19 5차 대책 개요 발표 ㅇ ECB 라가르드 총재, 코로나 19 대응을 위해 정상적인 수단 이상의 정책 필요 ㅇ 중국 상무부, 정부의 지원 정책은 해외기업도 동등하게 이용 가능 ㅇ 잉글랜드 은행, 기존 통화정책 유지·2020년 성장률은 -14% 예상 ■ 국내금융시장: KOSPI 약보합*. 원/달러 NDF 환율(1219.6원) 0.4% 절상. CDS 하락 *미국 고용부진 우려에도 중국 수출 호조 등이 반영 |
◆[5.7] EU, 2020년 성장률은 통계작성 이후 가장 저조한 실적 예상 등 ■ 주요 뉴스: EU, 2020년 성장률은 통계작성 이후 가장 저조한 실적 예상 ㅇ IMF, 코로나 19를 계기로 저금리 활용 인프라 투자의 강화 제언 ㅇ 중국 외교부, 미국의 코로나 19 관련 관세 무기화 비판 ㅇ 미국 댈러스 연은 총재, 과잉부채기업은 긴급대출제도의 활용 곤란 ■ 국내금융시장: KOSPI 1.8% 상승*. 원/달러 NDF 환율(1228.9원) 0.6% 절하. CDS 상승 *주요국 경제활동 정상화 기대 등이 견인 |
국제금융센터 |
◆탈원전 고수하고 값비싼 LNG 확대... 9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초안 공개 우리나라의 전력 수요가 올해부터 2034년까지 연평균 1% 늘어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4차 산업혁명으로 전력 수요가 크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3년 전 발표한 8차 전력수급기본계획 때보다 오히려 전력 수요 증가율이 줄어든다는 것이다. 위원회는 전체 발전원 가운데 석탄과 원전 설비 비중을 지속적으로 줄이고 액화천연가스(LNG), 신재생에너지 설비 비중을 늘린다는 현 정부의 탈(脫) 원전 정책을 재확인했다. 특히 석탄 발전의 감축을 가속한다는 방침이다. 위원회는 “2034년까지 현재 석탄 발전기 60기 중 30기(15.3GW)를 폐지할 예정이고, 이 가운데 24기는 LNG 발전으로 전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허위매물 여전히 기승…1분기 3.9만건, 전년비 126.1%↑ 정부가 부동산 시장을 교란하는 행위를 엄벌하겠다며 갖은 수단을 동원해 허위매물에 대응 중이지만, 여전히 허위 매물을 미끼로 고객을 현혹하는 행위가 근절되지 않고 있다. 8일 한국인터넷자율정책기구(KISO) 부동산매물클린관리센터에 접수된 올해 1분기(1~3월) 부동산 허위매물 신고는 3만8875건으로, 전년 같은 분기 1만7195건 대비 126.1% 늘어 2배 이상 급증했다. 월별로 보면 ▲1월 1만5385건 ▲2월 1만4984건 ▲3월 8506건으로 줄고 있다. 지난달에도 6149건으로 감소세가 이어졌지만 근절되진 않고 있다. |
◆1분기 소비재 국내공급 2.5%↓…통계 작성이래 최대폭 감소 통계청이 8일 발표한 '1분기 제조업 국내공급동향'을 보면 제조업 국내공급지수는 올해 1분기 101.5(2015년=100)로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2.0% 올랐다. 작년 3분기 1.2% 늘어 플러스(+)로 전환한 제조업 국내공급이 4분기 0.9% 증가에 이어 3개 분기 연속 증가세를 보였다. 이 지수는 국내에서 생산하거나 외국에서 수입해 국내에 공급한 제조업 제품의 가액(실질)을 지수화한 것으로, 내수 시장의 동향을 보여주는 지표다. |
네이버경제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