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고용정보원은 이상호 연구위원이 저출산 고령화에 따른 인구감소로 나타날 수 있는 지방소멸위험도를 분석한 <한국의 지방소멸 2018> 보고서를 「고용동향브리프 7월호」에 8.14.(화) 발표하였다.
- 보고서에 따르면, 전국 228개 시군구 중 소멸위험지역은 ’13년 75개(32.9%)에서 ‘18년 89개(39%)로 증가하였음.
- 전국 3,463개 읍면동 가운데 소멸 위험에 처한 지역 수도 ‘13년 1,229개(35.5%)에서 ’18년 1,503개(43.4%)로 5년 사이에 274개(7.9%p)가 늘었음.
- ’13-’17년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터를 이용해 인구이동을 분석했더니 소멸위험 읍면동에서 26만 2천 명의 순유출이 발생하였음.
- 한편, 이번 연구결과가 수록된 고용동향브리프 7월호와 지방소멸위험지수 엑셀자료는 한국고용정보원 홈페이지(www.keis.or.kr)에서 확인할 수 있음.
<붙임> <한국의 지방소멸 2018> 주요 분석 결과
첨부파일
www.kdi.re.kr/policy/publication_view.jsp?idx=179584&pp=10&code=AH&pg=1
KDI 한국개발연구원 - 경제정책정보 - 발간처별 목록 - 정부기관 - 고용노동부 - 전체 - 전국 시군��
한국고용정보원은 이상호 연구위원이 저출산 고령화에 따른 인구감소로 나타날 수 있는 지방소멸위험도를 분석한 보고서를 「고용동향브리프 7월호」에 8.14.(화) 발표하였다. - 보고서에 따르��
www.kdi.re.kr
'정치경제법률 > 그들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융리스크리뷰誌 2020년 여름호(제17권 제2호) (0) | 2020.09.16 |
---|---|
OECD 2020~21년 경제성장률 전망 합산시 한국만 유일하게 + 기록 (0) | 2020.09.12 |
2020-09-11 일자 [제 20-36 호] (0) | 2020.09.12 |
주간아파트가격동향 (20200907기준) (0) | 2020.09.12 |
2020-09-04 일자 [제 20-35 호] (0) | 2020.09.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