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핵실험 관련 주요 일지
http://v.media.daum.net/v/20160106123522425?f=m
▲2008년 6월27일 북, 영변 원자로 냉각탑 폭파·해체
기상청은 6일 북한0 함경북도 길주군에서 규모 4.2의 인공지진이 발생했다고 밝혔다. 해당 지역은 풍계리 핵실험장 인근으로 지난 2013년 북한 핵실험에서도 비슷한 진도의 지진이 관측된 바 있다. (38노스 홈페이지 캡쳐) 2016.1.6/뉴스1 © News1 조현아 인턴기자 ▲2003년 1월10일 북한, 핵확산방지조약(NPT) 탈퇴
▲2005년 2월10일 북한, 핵무기 보유 선언
▲2005년 5월11일 영변 5MW 원자로에서 8000개 폐연료봉 인출 완료 발표
▲2005년 9월19일 6자회담에서 '북한이 모든 핵무기를 파기한다'는 내용의 9·19공동성명 채택
▲2006년 7월5일 북, 장거리 미사일 대포동 2호를 포함한 7기 미사일 함경북도 화대군 무수단리 발사장서 시험 발사. 대포동 2호 발사 40초 후 폭발해 실패.
▲2006년 7월15일 유엔 안보리 1695호 결의 채택. 북한의 미사일 관련 군수품 무역거래와 탄도미사일 개발 활동 중단 촉구
▲2006년10월9일 북, 제1차 핵실험 강행
▲2006년10월14일 유엔 안보리 1718호 결의 채택. 북한 미사일 및 핵실험과 미사일 관련 군수품 무역거래 중단 재차 압박
▲2008년 6월27일 북, 영변 원자로 냉각탑 폭파·해체
▲2008년 12월8~11일 6자회담 수석대표 베이징서 회동했으나 결렬
▲2009년 4월5일 북, '은하 2호' 무수단리 발사장서 발사 시험 강행
▲2009년 4월13일 안보리 의장성명 채택, 북 외무성 핵시설 원상복구 발표
▲2009년 4월29일 북, 핵실험 및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시험 예고
▲2009년 5월25일 북, 제2차 지하 핵실험 실시
▲2009년 6월12일 안보리, 1874호 결의 채택. 북한 핵탄두미사일 개발 프로그램 제재 강화, 북 외무성 새로 추출한 플루토늄 전량 무기화 및 우라늄 농축 착수 발표
▲2012년 4월13일 북,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 발사대서 장거리 로켓 '은하 3호' 발사…2분15여초 만에 추락
▲2012년 4월16일 북 장거리 로켓 발사 따른 유엔 안보리 의장성명 채택
▲2012년 12월12일 동창리 발사대서 장거리 로켓 '은하 3호' 발사 성공
▲2013년 1월22일 안보리 2087호 결의 채택
▲2013년 1월26일 김정은, 국가안전 및 대외부문 일꾼협의회 주재…국가적 중대조치 결심
▲2013년 2월3일 김정은, 노동당 중앙군사위 확대회의서 "자주권 지키기 위한 중요한 결론을 내렸다"고 발언
▲2013년 2월12일 북, 제3차 핵실험 실시
▲2013년 3월7일 유엔 안보리, 대북 제재결의 2094호 채택
▲2013년 4월2일 북한, 영변 5MW 원자로 재가동 선언
▲2016년 1월6일 북한 4차 핵실험. 북 "첫 수소탄 실험 성공"
'도덕윤리환경 > 역사는' 카테고리의 다른 글
'4대강 사기극' 이 사람들을 기억하라 (0) | 2018.07.15 |
---|---|
무한도전 [위대한 유산] 가사 (0) | 2018.06.29 |
프레이저 보고서 (0) | 2018.06.27 |
기무사가 걸어온 길 (0) | 2018.06.27 |
"5·18 흑백영상 속 시민군이 접니다"..캐나다 교민의 증언 (0) | 2018.05.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