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대통령, BBC와 인터뷰
"비핵화 어느 단계에 도달하면
경제제재 서서히 완화 검토해야"
'선 비핵화-후 제재 해제' 주장한
미국 태도 변화 끌어낼지 주목
'북 현존 핵까지 전부 폐기' 언급
비핵화 약속 되돌릴 수 없다는
김 위원장 의지 국제사회에 보증
[한겨레]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말하는 완전한 비핵화에 현존하는 핵무기와 핵물질의 폐기가 포함돼 있다는 문재인 대통령의 12일 <비비시>(BBC) 인터뷰 발언은 김 위원장의 비핵화 약속이 핵무기 폐기로 이어질 것이라는 믿음을 심어주기 위한 ‘의도적 강조’로 보인다. ‘완전한 비핵화’(4·27 판문점선언) ‘핵무기 없는 한반도’(9·19 평양공동선언) 실현이라는 김 위원장의 약속이 실천명제라는 점을 국제사회를 향해 보증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문 대통령의 발언은 다가온 2차 북-미 정상회담에서 논의될 비핵화의 수준을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김 위원장은 9·19 평양공동선언에서 미국의 상응조처에 따라 영변 핵시설 영구 폐기와 추가적인 조처를 취할 용의가 있음을 밝혔다. 미국의 상응조처에 따라선 추가적인 조처에 핵무기와 핵물질 폐기가 포함될 수 있다. 그렇게 되면 핵시설에 이어 핵무기, 핵물질이라는 북한의 현존하는 핵능력이 모두 순차적으로 폐기 경로에 들어서는 셈이 된다.
문제는 미국의 상응조처가 무엇인가이다. 문 대통령이 종전선언은 미국의 상응조처 가운데 하나일 뿐이라고 말한 점이 주목된다. 문 대통령은 싱가포르 북-미 정상회담의 약속을 거론하며 “미국은 북한과의 오랜 적대관계를 종식하고, 북한의 안전을 보장하면서 북-미 관계를 정상화해 나가기로 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것들은 서로 교환적인 것”이라고 덧붙였다. 미국의 상응조처가 종전선언에 더해 포괄적인 내용을 담아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 것으로 보인다. 구갑우 북한대학원대 교수는 “새로운 북-미 관계, 한반도 평화체제, 완전한 비핵화라는 싱가포르 선언의 정신에 따라 비핵화에 상응하는 외교, 군사, 경제적 대가가 있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 것으로 읽힌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앞서 <폭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도 “상응조치라는 것이 반드시 제재를 완화하는 것만을 뜻하는 것은 아니다”라며 종전선언, 인도적 지원, 예술단의 교류, 연락사무소 설치 등을 거론한 바 있다.
문 대통령은 북-미 간 현안으로 떠오르고 있는 제재 완화 문제에 대해서도 의미있는 화두를 던졌다. 문 대통령은 “북한의 비핵화가 어느 정도 단계에 도달하게 되면 그때부터는 북한에 대한 경제제재를 서서히 완화해 나가는 것까지도 진지하게 검토되어야 할 것” “북한이 진정성 있는 비핵화 조치를 계속 실천해 나가고, 이제는 되돌릴 수 없는 상태에 왔다고 판단되면 유엔 제재들이 완화되어 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선 비핵화, 후 제재 해제’를 주장하는 미국의 태도에 비춰보면, 비핵화 과정에서 제재 완화가 이뤄질 수 있다는 새로운 접근법을 제시한 것으로 보인다. 김준형 한동대 교수는 “문 대통령이 북한의 비핵화 조처에 따른 단계적 제재 완화도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는 점을 유럽 등 국제사회에 환기하려는 것 같다”고 풀이했다.
미국은 아직까지 제재 완화를 언급하지 않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북한은 중국, 러시아와 함께 대북제재 해제를 요구하고 있다. 문 대통령이 비핵화 단계에 따른 제재 완화 필요성을 언급한 것이 가시화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북-미 협상과 남북관계에 정통한 전직 정부 고위 관계자는 “미국이 중간선거를 치르고 있어 비핵화 전에 제재 완화는 없다는 입장을 취하고 있으나, 실제 비핵화가 진행되면 입장이 바뀔 수도 있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이 한반도를 넘어선 동북아 질서를 언급한 대목도 눈에 띈다. 문 대통령은 “유럽은 유럽석탄철강공동체로부터 시작해서 지금 유럽연합(EU)에 이르기까지 통합의 길을 걸어왔다”며 “앞으로 한반도의 항구적인 평화체제가 이렇게 구축되려면 동북아 전체의 다자평화안보체제가 구축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유강문 선임기자, 노지원 기자 moon@hani.co.kr
https://news.v.daum.net/v/20181012220216489?rcmd=rn
'시사교육배움 > 평화는' 카테고리의 다른 글
"2차 북·미 정상회담 내년 초에"..발언 나온 배경은? (0) | 2018.10.20 |
---|---|
북한이 괴물같다며 없애자는 '유엔군사령부', 어떤 기구? (0) | 2018.10.19 |
[단독]정세현,문정인 특별대담 “남북대화가 북·미대화보다 앞서가는 것이 역사의 순리” (0) | 2018.10.07 |
[설민석 강사가 들려주는 통일 이야기] 통일이 되면 나에게 무엇이 좋은가? (0) | 2018.09.27 |
G20 박근혜 대통령 "北 핵포기시 매년 630억달러 지원" (0) | 2018.09.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