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硏 ‘가계부채 진단’ 보고서
-가계부채 7년간 90조원 늘어나
[헤럴드경제=최원혁 기자] 서울지역 가계부채가 7년간 90조원 증가했고 서울 시민 10명 중 6명은 가계부채에 따른 원금상환과 이자 납부에 부담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4일 서울연구원의 ‘서울시 가계부채 진단과 정책방향’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은행 통계를 분석한 결과 서울지역 가계부채는 예금취급기관 대출 기준으로 2010년 195조원에서 2017년 285조원으로 90조원 늘었다. 이 가운데 주택대출은 125조원에서 177조원으로 증가했다.
서울연구원 측은 가계부채는 크게 예금취급기관 및 기타 금융회사 대출, 판매 신용으로 구분되지만 한국은행이 지역별 판매신용과 기타 금융사 자료를 제공하지 않아 예금취급기관 대출만 분석했다고 설명했다.
서울 가구의 2017년 평균 자산은 5억3576만원, 부채는 9764만원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국 평균(자산 3억8164만원, 부채 7022만원)을 크게 웃도는 수치다.
이와함께 서울 가계부채가 1% 증가하면 소득은 0.26% 감소하고 대출금리가 1% 늘면 가계부채는 0.01%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서울연구원이 지난해 4∼5월 19세 이상 서울 시민 1000명을 대상으로 표본 조사한 결과 부채 보유 가구의 63.0%는 원금상환과 이자 납부가 부담된다고 답했다. 부담이 없다는 응답은 11.3%, 보통은 26.0%였다. 월 소득이 적을수록 부담된다는 응답이 많았다.
부채 비중을 살펴보면 담보대출이 41.0%로 가장 높고 그 다음으로 신용대출(23.6%), 신용카드 관련 대출(9.2%)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담보대출은 464건에 평균 9698만원, 신용대출은 321건에 평균 2068만원, 신용카드 관련 대출은 126건에 404만원, 기타 대출은 136건에 376만원으로 나타났다.
서울연구원 관계자는 “서울시는 상대적으로 부채보다 자산 규모가 커 부채 대응력은 (타 지역보다) 괜찮지만 한계가구로 인한 문제는 지속해서 제기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관계자는 “서울시가 2012년 가계부채 위기관리 종합대책을 발표한 이후 6년 동안 종합대책이 없었다”며 “서울시는 부동산 등 거시적인 부문보다 한계가구와 영세자영업자 등의 가계부채 문제를 해결하는 데 집중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choigo@heraldcorp.com
http://biz.heraldcorp.com/view.php?ud=20190104000101
서울 가계부채, 10년간 120조원 늘었다
서울지역 가계부채 추이. 서울연구원
4일 서울연구원의 ‘서울시 가계부채 진단과 정책방향’ 보고서를 보면, 서울지역 가계부채는 예금취급기관 대출 기준으로 2007년 164조5000억원에서 2017년 284조8000억원으로 10년 새 120조3000억원 증가했다. 같은 기간 연평균 5.6%의 증가율을 보였다. 지난해 가계부채에서 주택대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62.1%였다.
서울의 가계부채 증가율은 2012년 마이너스 0.5%로 감소세를 기록한 이후 매년 상승해 2016년에는 10.3%를 기록하는 등 2013년 이후부터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서울 가구의 2017년 평균 자산은 5억3576만원, 부채는 9764만원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국 평균(자산 3억8164만원, 부채 7022만원)을 크게 웃도는 수치다. 부채 중 담보대출이 41.0%로 가장 많고, 신용대출(23.6%), 신용카드 관련 대출(9.2%)이 뒤를 이었다. 부채를 안고 있는 가구의 63.0%는 원금상환과 이자 납부가 부담된다고 답했다.
서울 가계대출이 지역 내 총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16년 기준 74.1%로 전국 평균 55.3%보다 18.8%포인트 높았다. 보고서는 “서울은 가계부채가 지역 내 총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상대적으로 커 금리가 인상되면 타 지역보다 영향이 더 클 것”이라고 예상했다.
서울 가구 1000가구 중 62.2%는 지난해에 비해 올해 가계부채 규모에 변화가 없거나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43.6%는 ‘변화가 없을 것’이라고 했고, ‘증가할 것’과 ‘매우 증가할 것’이란 응답은 각각 16.0%, 2.6%였다.
가계부채 증가 전망 주요 원인. 서울연구원
가계부채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한 이유로는 거주용 부동산 마련(35.5%)이 가장 많았다. 이어 생계비 마련(24.7%), 결혼자금 마련(9.1%), 사업자금·학자금 마련(각 8.1%) 등의 순이었다.
보고서는 “서울시는 2012년 가계부채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위기관리 종합대책을 발표했으나 이후 종합관리 대책은 없었다”며 “서울시는 부동산 등 거시적인 부문보다는 한계가구와 영세자영업자 등의 가계부채 문제를 해결하는 데 집중해야 한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문제 해결 방안으로 가계부채 전담부서 설립, 자치구당 1곳 이상 서울금융복지상담센터 설치,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한 찾아가는 가계부채상담센터(가칭) 운영 등을 제안했다. 또 취약계층의 가계부채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이들의 자립을 도와줄 수 있도록 일자리가 함께 제공돼야 한다고 조언했다.
-2019년 3월말 기준 가구의 평균 자산은 4억 3,191만원으로 전년에 비해 2.7% 증가하였음.
- 2019년 3월말 기준 가구의 평균 부채는 7,910만원으로 전년에 비해 3.2% 증가하였음.
- 2018년 가구의 평균 소득은 5,828만원으로 전년대비 2.1% 증가하였음.
- 2019년 3월말 기준 가구주의 예상 은퇴 연령은 68.0세이며, 실제 은퇴한 연령은 62.8세로 나타남.
- 2019년 3월말 기준 자산이 전국 평균보다 높은 지역은 서울, 세종, 제주 등이며, 2018년 소득이 전국 평균보다 높은 지역은 서울, 울산, 세종, 경기로 나타남.
- 2018년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기준 지니계수는 0.345로 전년대비 0.009 감소하였으며, 소득 5분위배율은 전년대비 0.42배p 감소, 상대적 빈곤율은 전년대비 0.6%p 감소하였음.
<별첨> 통계표
'도덕윤리환경 >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0 경제정책]1인가구용 소형 공공임대 공급 확대..종합대책 2분기 발표 (0) | 2019.12.19 |
---|---|
내년 표준주택 공시가격 '마용성동' 4억∼6억원대 많이 오른다 (0) | 2019.12.19 |
국공립어린이집 갖춘 양재역 ‘역세권 청년주택’ 공급 (0) | 2019.12.17 |
‘일몰제 도시공원’...국토부, ‘공공주택지구’ 지정으로 돌파 (0) | 2019.12.17 |
용산공원 조성절차 본격화…주택시장 '들썩' (0) | 2019.1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