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정형 고금리 상품이 발목 잡아
상반기 부채 평가서 빅3 등 꼴찌
올해 국내서 영구채 5000억 발행
해외서도 발행 타진‐ 성공 미지수
http://www.nicerating.com/research/researchAll.do
한화생명이 새로 도입되는 회계제도(IFRS17)의 최대 피해자가 될 거란 우려가 보험업계에서 점점 커지고 있다. 상반기 이미 한차례 국내에서 5000억원 규모의 신종자본증권을 발행했지만, 건전성에 대한 물음표는 우려는 여전하다는 지적이다.
시나리오에 따라선 빅3 생명보험사 중 유일한 '자본잠식 보험사'가 될 수도 있다는 추측까지 나오고 있는 판국이다.
한화생명은 최근 해외 영구채(신종자본증권)발행을 타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생보사 중 가장 공격적으로 대비하고 있다는 평가다. 지난 4월 국내에서 30년 만기 영구채를 발행한 이후 다시 발행 시장을 찾은 것이다. 앞서 해외에서 자금조달에 성공한 교보생명과 흥국생명도 각각 5000억원 규모 신종자본증권을 발행했다.
금감원이 올 상반기 신지급여력제도(K-ICS) 도입을 위해 진행한 필드테스트에서는 한화생명의 자본확충이 시급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 보험업계 관계자는 "신지급여력제도가 도입될 경우 한화생명의 지급여력(RBC)비율이 큰 폭으로 떨어질 것이란 예측이 나왔다"라며 "일설에 따르면 자본이 마이너스(-)로 갈 정도로 심각한 상태라는 말까지 흘러나온다"고 말했다.
한화생명의 발목을 잡고 있는 것은 지난 1990년대부터 판매한 확정형 고금리 상품이다. 회사의 금리확정형 상품 규모는 지난해 말 기준 52%를 차지했다. 6% 이상의 금리를 확정한 상품 비중은 전체 상품의 30%에 달한다. 현재 시점의 금리를 기준으로 부채를 계산해야 해 자본 확충 부담은 커지고 있다.
지난해까지 63저축보험, 스마트63저축보험 등 상대적으로 높은 최저보증이율 저축성보험 판매에 열을 올렸고, 이에 따른 이차 역마진 우려도 겹친 상황이다. 3분기 실적 컨퍼런스콜에서 상당수 질문이 자본 건전성 문제에 집중된 이유다. 시장점유율은 떨어지는 가운데 금융당국의 규제는 점점 까다로워지면서 회사의 대응책에 시장의 궁금증이 컸다.
한 증권사 연구원은 “한화생명의 고금리 확정형 상품과 최저보증이율 상품의 금리 부담이 경쟁사 대비 상대적으로 높다는 점이 부담요소”라며 “회사가 이런 상황을 타개할 방책이 있는가에 대한 의문점이 존재한다”라고 말했다.
실제로 올해 상반기 부채적정성평가(LAT)에서는 빅3 보험사 중에서 가장 열위한 모습을 보였다. 부채적정성평가가 부채시가평가에 따른 영향을 가늠해 볼 수 있는 척도라는 점에서 시장의 우려는 크다. 올해 상반기 기준 한화생명의 결손금과 잉여금 합은 2조8000억원에 불과하다. 삼성생명은 10조원, 교보생명은 3조3000억원으로 이 수치가 작을수록 부채 시가평가에 따른 자본 확충 수요가 크다. 감독당국은 잉여금이 결손금보다 작을 경우 의무적으로 자본을 더 쌓도록 요구하고 있다.
한화생명이 해외 신종자본증권 발행을 고려하는 것도 이런 상황과 무관치 않다. 다만 자본확충 여건은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 대주주인 한화건설과 한화가 직접 지원에 나서기 힘든데다, 이미 한 차례 국내에서 5000억원 규모의 신종자본증권을 발행한 바 있다. 당시 기관투자자들이 투자에 난색을 표하는 가운데 그나마 시중은행들이 나서며 발행에 성공했다.
해외 발행도 순탄치만 않을 것이란 전망이다. 국내에선 선제적으로 신종자본증권 발행에 나서며 자금을 확보한 측면이 있지만, 해외에선 이미 교보생명과 흥국생명이 투자 수요를 모은 바 있다. 모처럼 나온 보험사 물량에 투자자들이 관심을 가졌던 점이 투자수요 확보에 긍정적으로 작용했던 만큼, 또다시 나온 보험사 물량에 해외 투자자들의 반응이 어떨지는 지켜봐야 한다는 의견이 많다.
한 기관투자자 관계자는 “국내 보험사 물량에 관심이 있는 투자자들이 이미 교보생명에 투자한 마당에 얼마나 투자수요를 끌어모을지는 지켜봐야 알 것 같다”라고 말했다.
http://www.investchosun.com/2017/11/23/3220244
보험사, IFRS17 도입 영향 평가 결과 놓고 '설왕설래'
"제도 완화해야" VS "확대해석은 피해야"
보험업계가 2021년 IFRS17 도입을 앞두고 시행된 영향 평가 결과를 놓고 시끄럽다. 우려가 현실로 다가왔다는 주장과 지나치게 확대해석을 경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공존한다.
14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신지급여력제도를 기초로 생보사들의 자본적정성에 대한 영향평가(필드테스트) 결과 국내 생보사 대다수의 지급여력비율(RBC)이 100% 이하로 떨어지는 것으로 알려졌다. RBC비율이 100% 이하로 떨어질 경우 감독당국의 시정조치를 받게 된다. 최악의 경우 업계에서 퇴출 될 수 있다.
이 사실이 알려지면서 보험사들은 집단행동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신용길 신임 생보협회 회장은 취임식에서 “시가평가에 근거한 새로운 건전성 제도가 도입되면 생보사들은 요구자본의 급격한 증가에 따라 재무적 충격을 받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며 “업계와 정책, 감독당국, 연구기관 등 모두가 머리를 맞대고 제도의 연착륙을 위한 심도 있는 논의를 통해 종합적인 대응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각 보험사들도 감독당국과 접촉하면서 제도 완화의 필요성을 제기하는 것으로 전해진다. 올 한해 숨가쁘게 자본확충에 나섰지만, 대응하기에는 역부족이란 의견을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 보험업계 관계자는 “감독 당국도 이런 상황을 충분히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라고 말했다.
다만 회사마다 온도 차는 있다. 그간 꾸준히 문제가 됐던, 흥국생명, KDB생명엔 ‘위험’ 신호가 울린다. 대형사 중에선 한화, 교보생명의 경우 추가적인 자본확충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들은 이번 테스트 결과를 놓고 감독당국이 업계에 미칠 영향을 고려해 신지급여력제도의 기준을 완화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반면 일부 외국계 생보사의 경우 IFRS17 도입에 따른 영향이 상대적으로 작다 보니, 오히려 엄격한 규제를 요구하고 있는 곳도 있다. 새로운 회계제도 도입을 M&A의 기회로 엿보기도 한다. 한 외국계 보험사 고위 관계자는 “외국계 보험사로선 오히려 지금이 더 기회라고 본다”라며 “안정적인 재무구조를 바탕으로 공격적인 영업에 나설 채비를 갖췄다”라고 말했다.
감독당국도 무리하게 제도를 추진하지는 않겠다는 입장이지만, 영향 평가 결과를 놓고 지나친 확대해석을 경계하고 있다. 금리 상승국면인데다, 제도를 보완하고 있는 상황이라 지금의 결과 만을 놓고 판단하기에는 이르다는 주장이다.
한 감독당국 관계자는 “금리 변화 방향에 따라 신RBC 제도의 영향도 크게 차이가 난다”라며 “현 단계에서 섣불리 판단하기에는 고려해야 할 변수들이 너무 많다”라고 말했다.
http://www.investchosun.com/2017/12/21/3221325
빅3생보사, 금리 확정형 상품 결손 규모 증가…할인율 반영시 부채 늘어
대형 생보사 금리 확정형 결손금 매년 증가 추세
오는 5월 IFRS17 기준서 확정…보험사 자본 확충 부담 커져
과거 판매한 고금리 상품의 영향으로 대형생보사의 자본 부담이 갈수록 커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손금이 모두 부채 증가로 이어지진 않겠지만 새 회계기준에서는 부채 규모가 커지기 때문에 상당 수준의 자본을 확충해야 할 것으로 보고 있다. 보험부채는 고객 보험금을 돌려주기 위해 보험사가 쌓아 놓는 재원인 책임준비금을 말한다.
20일 생명보험업계 부채적정성평가(LAT)에 따르면 대형 생보사 3곳의 금리확정형 및 금리연동형 유배당 상품 결손금 규모는 49조1472억원에 달했다. 이는 2015년(45조29억원) 대비 9.2% 증가한 수치다.
삼성생명은 보험상품 결손금이 총 30조4981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한화생명은 10조1645억원, 교보생명은 8조4920억원을 기록했다.
빅3 생보사의 결손금은 1년 전보다 일제히 증가했다. 2015년 빅3생보사의 결손금은 △삼성생명 27조1026억원 △한화생명 10조722억원 △교보생명은 7조8281억원이었다.
생보사들은 보험계리기준에 따라 금리확정형 유배당, 금리확정형무배당, 금리연동형 유배당, 금리연동형 무배당, 변액보험 등 5가지로 보험 상품을 분류해 부채 적정성 평가를 시행한다. 잉여금은 보험계약에 따른 지출보다 보험사가 남는게 더 많다는 의미지만 결손금은 보험사가 보험계약자에게 줄 게 더 많다는 의미다.
현행 LAT제도는 부채 적정성 평가 이후 결손이 나는 금액을 부채에 반영하도록 하고 있으며 잉여금과 상계 처리하고 있다. 상계 처리된 합계액은 삼성생명 4조1641억원, 교보생명 3조2329억원, 한화생명은 1조8713억원을 나타냈다. 2015년에는 삼성생명 4조5592억원, 교보생명 3조3162억원, 한화생명 1조1835억원이었다. 삼성생명과 교보생명의 경우 1년새 금리확정형 유배당상품의 결손규모가 커지면서 상계한 규모가 줄었다.
문제는 오는 2021년부터 부채를 시가평가함에 따라 할인율이 단계적으로 낮아지면서 금리확정형 상품의 결손 규모가 더 커질 수 있다는 점이다.
금감원은 올해부터 2020년까지 4년에 걸쳐 부채적정성평가에 적용하는 할인율을 산업은행이 발행하는 산업금융채권처럼 신용위험이 없는 안전채권 수준으로 단계적으로 낮출 방침이다. 이에 따라 보험부채를 평가하는 할인율이 현재 자산운용수익률 3.6~4%에서 1%포인트 가량 떨어져 고금리 상품을 보유한 보험사들의 부채가 크게 늘어날 전망이다.
새 회계기준에서는 과거 6% 이상 확정금리형 상품을 많이 팔았던 보험사들이 저금리가 계속되는 현재 시점의 금리수준에 따라 부채를 계산해야 하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고금리 확정형 상품 부채가 많은 생보사들의 자본확충 부담이 더욱 커질 수 있다는 얘기다.
금감원 관계자는 "결손금과 잉여금을 상계하더라도 변동되는 할인율을 적용했을 때 고금리 확정형 상품을 많이 판 곳들은 결손금이 커지고 그만큼 부채가 늘어나게 된다"고 설명했다.
IFRS17에서는 자산 변동이 없는 상태에서 부채만 늘어나면 보험사들은 부채 증가분에 해당하는 금액을 이익잉여금에서 차감해야한다. 이는 자본 감소로 이어지게 되며 보험사의 건전성 지표인 지급여력비율(RBC)이 떨어지게 된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국내 보험사들이 자본을 끌어모으기 위해 배당금을 줄이고 유상증자를 받고 후순위채권을 발행하는 등의 노력이 한창”이라며 “5월에 금융당국에서 IFRS17 기준서가 나오면 보험사들이 필요 자본을 파악하고 최적의 방안을 확정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보도자료 및 기사제보 press@newdaily.co.kr
'정치경제법률 > 세법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집값·빚 증가 잡는다..'양날의 칼' 보유세 꺼내든 정부 (0) | 2017.12.28 |
---|---|
보험회사 파산하면 가입자 보험금 깎인다 (0) | 2017.12.23 |
우리가 내는 세금은 어디로 쓰이나 (0) | 2017.12.15 |
종합소득세 신고방법과 종합소득세 신고 (0) | 2017.12.03 |
국토부,다주택 등록 혜택 후 보유세 인상 전망 (0) | 2017.1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