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05.20 22:48
ㆍ강북권도 45.4%로 급증…자금조달 부담, 청약 당첨에도 미계약 확산
올해 서울에서 분양된 민간아파트 중 절반가량이 분양가 9억원 초과 물량인 것으로 나타났다. 과거 9억원을 넘는 분양 아파트는 대개 강남3구에 몰려 있었으나 최근에는 강북 도심에서도 등장하고 있다. 분양가 상승으로 자금조달 부담이 커지면서 청약에 당첨되고도 계약을 포기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20일 부동산정보 서비스 ‘직방’이 올해들어 5월15일까지 서울에서 분양된 민간아파트를 분석한 결과를 보면 분양가 9억원을 초과한 물량이 전체 공급량의 48.8%를 차지했다.
분양가 9억원 초과 물량의 비중은 2015년 12.9%, 2016년 9.1%, 2017년 10.8%에 불과했다가 집값이 급등한 2018년 29.2%로 늘더니 올해는 더 크게 증가했다. 분양가가 9억원을 넘으면 중도금 대출을 받을 수 없다. 업계에서도 통상 9억원을 고가주택의 기준으로 삼고 있다.
분양가 9억원 초과 아파트는 그간 강남에 국한된 이야기였으나 올해 들어 강북권으로도 확산되고 있다. 지난해 분양가 9억원 초과 아파트의 90%가 강남3구에 있었으나 올해는 26.4%로 줄었다. 대신 강북 비중이 10%에서 73.6%로 늘었다.
지역별로 보면 강남3구의 경우 올해 전체 공급물량 가운데 분양가 9억원 초과 비중은 76.4%로, 지난해(92.2%)보다 줄었다. 반면 강북에서는 전체 물량 중 분양가 9억원 초과 비중이 45.4%로, 지난해(6.2%)보다 7배 이상 증가했다. 마포·용산·성동·광진구 등 한강과 맞닿아 있는 지역 외에 서대문구 ‘홍제역 해링턴 플레이스’와 동대문구 ‘청량리역 한양수자인 192’ 등 도심에서도 분양가 9억원 초과 사례가 확산되고 있다.
분양가격 구간을 세분화해 보더라도 올해 ‘8억원 초과~11억원 이하’ 비중은 44.9%로 지난해(22.3%)보다 2배 증가했다. 반면 ‘6억원 초과~8억원 이하’ 중저가 비중은 4.4%로 지난해(33.4%)보다 크게 줄었다.
서울의 분양가가 가파르게 오른 데는 집값 급등의 영향이 크다. 주택도시보증공사(HUG)가 밝힌 지난달 말 기준 서울 민간아파트 분양가(발표 직전 12개월 평균)는 ㎡당 778만4000원이다. 3.3㎡당으로는 2569만원으로 전월보다 0.15%, 전년 동월보다 13.79% 상승했다. 분양가는 인근 아파트의 분양가 또는 주변 시세의 110% 이하로 산정하는데, 최근 집값이 치솟으면서 분양가도 뛰고 있는 것이다. 이에 HUG는 올해 상반기 중 분양가 산정방식을 개선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여기에 서울은 공공이 주도하는 대규모 택지 공급이 아닌 재개발·재건축 등이 주를 이루다보니 분양가 조정과정에서 조합의 협조를 얻기 쉽지 않은 것도 분양가가 높은 이유 중 하나다. 시민단체에서는 건축비 등 원가 부풀리기와 허술한 분양가 심사로 인한 분양가 거품을 지적하기도 한다.
피해는 예비 청약자들에게 돌아가고 있다. 분양업계 관계자는 “최근 수도권의 한 분양단지에서 당첨자의 29%가 계약을 하지 않았는데 이 중 30%가 분양가 부담 때문이었다”며 “분양가 9억원 초과는 중도금 대출이 되지 않아 자금조달 계획을 세우지 않고 청약을 했다가 나중에 계약을 포기하는 사례가 많이 나올 수 있다”고 말했다.
원문보기:
http://biz.khan.co.kr/khan_art_view.html?artid=201905202116005&code=920202#csidxf63b59392522ca4a436a9684de3a8a4
'도덕윤리환경 >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위례신도시, 민간에 땅팔아 건설사만 21조 '꿀꺽'" (0) | 2020.02.16 |
---|---|
[부동산을 흔드는 손] ② 갭투자에 뛰어든 2030…10대까지 가세 (0) | 2020.02.16 |
빅테크플러스 “악성 미분양 허위신고, 100배 넘게 차이 나는 곳도 있어” (0) | 2020.02.16 |
라임펀드가 뭐야? 도주한 부사장은 어디에? 궁금증 다섯가지 (0) | 2020.02.16 |
악덕 집주인, 사모펀드 블랙스톤 (0) | 2020.0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