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여러 갈래로 뻗어온 적폐수사의 중심 축은 바로 국정원 댓글 사건입니다.
2009년부터 거액의 국정원 자금이 민간인으로 구성된 댓글부대의 정치공작에 쓰인 의혹인데, 검찰이 곧 사건을 매듭 지을 것으로 보입니다.
구하림 기자입니다.
[기자]
국정원 댓글 사건 수사의 끝이 눈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검찰은 지난해 사이버외곽팀장 3명을 포함해 이들을 관리한 국정원 직원들을 기소한 데 이어, 최근에는 이명박 전 대통령 지지단체의 대표이기도 했던 차 모 씨 등 외곽팀장 3명을 추가로 재판에 넘겼습니다.
이명박 정부 시절 인터넷에 편향된 댓글을 남기며 불법 정치관여 활동을 편 혐의로 수사망에 오른 외곽팀장은 모두 48명입니다.
검찰 관계자는 "아직 기소되지 않은 외곽팀장 42명의 혐의를 추리는 중"이라며, "다음주까지 한 두 차례에 걸쳐 사법처리를 마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지난해 국정원 적폐청산 TF의 수사의뢰를 계기로, 검찰은 반 년 가까이 의혹 규명에 주력해왔습니다.
수사를 도맡았던 파견 검사 2명은 올해 초 복귀했고, 공작에 동원된 민간인 조사도 마무리 수순인 것으로 전해집니다.
이미 국정원법 위반 혐의로 법정 구속된 원세훈 전 원장과 민병주 전 심리전단장, 이종명 전 차장은 댓글 부대에 국고를 끌어다 쓴 혐의로 모두 추가기소됐고, 수감 중인 원 전 원장은 재산까지 추징당하는 신세가 됐습니다.
수사와 재판, 그리고 재수사를 거치며 어느덧 10년이 지난 국정원 댓글 사건은 우여곡절 끝에 이달 중 매듭 지어질 전망입니다.
연합뉴스TV 구하림입니다.
'정치경제법률 > 정치는'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결정적 장면 6가지로 다시 보는 ‘MB정부 민간인 사찰 은폐’ (0) | 2018.01.23 |
---|---|
BBK영상에 “주어 없다”던 나경원, 10년 지난 지금은… (0) | 2018.01.22 |
‘박원순 때리기’에 나선 조중동과 박영선 (0) | 2018.01.19 |
[단독]양승태 법원행정처 ‘판사 동향’ 문건 작성 (0) | 2018.01.16 |
또 연기? 개헌특위 위원장 맡은 한국당 1년간 뭐 했나 (0) | 2018.0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