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UG 전세금 보증 가입 주택
2018년 17.1%서 최근 급증
2018년 17.1%서 최근 급증
정부가 제공하는 '전세금 반환 보증'에 가입된 주택 10채 중 3채가 전세 가격이 매매 가격과 비슷해 '깡통전세'가 될 위험이 있는 주택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깡통전세 위험주택 10채 가운데 1채는 실제 보증사고가 일어나는 것으로 파악됐다.
2일 유경준 국민의힘 의원이 주택도시보증공사(HUG)로부터 받은 '부채비율 구간별 전세금 보증 가입 및 사고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 8월 기준 전세금 반환 보증 가입 주택의 26.1%는 부채비율이 90%를 초과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전세금 반환 보증은 집주인이 전세금을 돌려주지 못할 경우 보증기관이 대신 돈을 돌려주는 일종의 '전세보험' 성격의 보증상품이다.
부채비율은 전세보증금과 선수위채권 등을 주택 가격으로 나눈 수치다.
부채비율이 90%를 초과하는 깡통전세 위험주택의 비중은 최근 4년 연속 증가했다. HUG가 전세금 반환 보증을 서준 전체 주택 중 부채비율이 90%를 넘는 주택의 비중은 2018년 17.1%, 2019년 18.4%, 2020년 22.4%, 2021년 26.3%로 꾸준히 늘었다.
2일 유경준 국민의힘 의원이 주택도시보증공사(HUG)로부터 받은 '부채비율 구간별 전세금 보증 가입 및 사고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 8월 기준 전세금 반환 보증 가입 주택의 26.1%는 부채비율이 90%를 초과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전세금 반환 보증은 집주인이 전세금을 돌려주지 못할 경우 보증기관이 대신 돈을 돌려주는 일종의 '전세보험' 성격의 보증상품이다.
부채비율은 전세보증금과 선수위채권 등을 주택 가격으로 나눈 수치다.
100%에 가까울수록 전세 가격과 주택 가격이 같아진다는 의미로 깡통전세가 될 위험도 커진다.
부채비율이 90%를 초과하는 깡통전세 위험주택의 비중은 최근 4년 연속 증가했다. HUG가 전세금 반환 보증을 서준 전체 주택 중 부채비율이 90%를 넘는 주택의 비중은 2018년 17.1%, 2019년 18.4%, 2020년 22.4%, 2021년 26.3%로 꾸준히 늘었다.
https://m.mk.co.kr/news/politics/view/2022/10/868962/
[단독] 전세금 챙기려고 보험 들었는데…3분의 1이 `깡통전세` 위기
HUG 전세금 보증 가입 주택 2018년 17.1%서 최근 급증
www.mk.co.kr
'도덕윤리환경 >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용융자 금리 10% 돌파…빚투 개미 '빨간불' (0) | 2022.10.17 |
---|---|
집 산 사람 10명 중 3명, 실거주 아닌 '임대 목적' (0) | 2022.10.04 |
"고정금리라 5년 버텼는데"..변동 전환 주담대 '이자폭탄' (0) | 2022.10.04 |
고금리 경험못한 2030 '멘붕'…"주담대 10%는 14년 전 얘기" (1) | 2022.09.30 |
[단독]공급과잉 후폭풍? 미분양 2배 폭증, 건설사 줄도산 공포 (0) | 2022.09.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