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news.tvchosun.com/mobile/svc/osmo_news_detail.html?contid=2023033090233
[단독] 올해 문 닫은 건설사 900곳…상장 3곳은 '빨간불'
[앵커]지방을 중심으로 건설사 위기가 감지되고 있죠. 주택 시장 침체로 문 닫은 건설사가 올 들어서만 900곳이 넘었는데요. 시공 능력 상..
news.tvchosun.com
[앵커]
지방을 중심으로 건설사 위기가 감지되고 있죠. 주택 시장 침체로 문 닫은 건설사가 올 들어서만 900곳이 넘었는데요. 시공 능력 상위 그룹에 속하는 건설사도 어려운 사정을 피해가지 못하고 있습니다. 특히 상장 건설사 중 3곳은 재무 건전성 지표에 '빨간 불'이 들어온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정수양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
[리포트]
시공능력 상위 100곳 중 40위 대인 A 건설사. 가진 자본은 3천억원 대인데, 부채가 2조원을 훌쩍 넘습니다.
부채비율이 500%를 넘는 겁니다.
문제는 지불할 능력(유동비율)도, 이자를 갚을 능력(이자보상배율)도 모두 취약하다는 겁니다.
이처럼 재무 건전성 지표 3개에 모두 '빨간불'이 들어온 건설사는 상장 건설사 72곳 가운데 총 3곳. 시공능력 30위대인 건설사도 포함돼 있습니다.
김시은 / 회계사
"이런 경우에는 차입이 많고 단기 차입금을 상환할 능력이 안 되는 것은 물론 이자 비용도 상환하기 힘든 상황인 거죠."
재무 건전성 지표가 두 가지 이상 취약한 건설사도 11곳에 달하는데, 모두 1년새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고금리에 따른 부동산 경기 위축과 미분양 주택 급증이 원인으로 꼽힙니다.
이종렬 / 한국은행 부총재보 (지난 23일)
"앞으로 부동산시장이 연착륙될 수 있도록 정책적 노력을 기울이는 한편, 보다 근본적인 대응으로서 (부채의 구조 개선이 필요)…"
지방 중소건설사 상황은 더 심각합니다. 올해 1분기 문 닫은 건설사는 총 900여 곳, 이 가운데 비수도권 건설사가 60%에 육박합니다.
정부의 규제 완화로 '될 곳만 되는' 분양 양극화가 더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건설사 '줄도산'이 현실화하는 건 아닌지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TV조선 정수양입니다.
....................................
건설사 ‘도미노 부도’ 우려… 3년 만에 도산 업체 증가 2023-01-22 06:00
https://m.kmib.co.kr/view.asp?arcid=0017878192
건설사 ‘도미노 부도’ 우려… 3년 만에 도산 업체 증가
감소세를 보이던 건설사 도산 건수가 지난해 다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기업 건설사의 채무금액잔액(이하 채무보증)은 2년 만에 2.7배 증가했다. 부동산
m.kmib.co.kr
'도덕윤리환경 >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분양 '고가 매입' 논란…원희룡 "내 돈이면 안 사" / 연합뉴스TV (1) | 2023.04.10 |
---|---|
거세진 집값 하락 후폭풍…강제경매 내몰린 깡통주택 급증 (0) | 2023.04.10 |
개인사업자 2월 대출 금리 (0) | 2023.03.30 |
서울시, 양재역 일대 '통합 밑그림' 그린다…용역 착수 (0) | 2023.03.30 |
“569.8조 빚 어떻게 갚나”…주담대 연체 증가율 54% 껑충 뛰었다 (0) | 2023.03.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