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경제법률/세법은

금융회사회생-정리계획( RRP ) 국제논의와 시사점 - 한국금융연구소

천사요정 2020. 9. 9. 09:41

 

금융회사회생-정리계획 국제논의와 시사점.pdf
1.04MB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대형 금융회사를 대상으로 효과적인 정리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국제논의가 진행되어 왔다.
2011년 G20 Cannes 정상회의는 금융안정위원회가 제출한 금융회사의 효과적 정리
체계 구축 관련 핵심원칙을 승인하고 각 회원국에게 2015년까지 각국의 정리제도를
핵심원칙의 주요 내용이 반영될 수 있도록 정비할 것을 요구하였다. 그리고 향후 핵심
원칙 준수 여부를 국제통화기금 등의 금융부문평가프로그램 등을 통해 정기적으로 평가
할 계획이다.


또한 미국 등 개별 국가들도 국제논의와 병행하여 각국 금융시스템에 혼란을 유발

하지 않으면서 납세자 부담도 초래하지 않는 정리체계 구축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최근 논의되고 있는 효과적 정리체계의 주요 내용은 「시스템적으로 중요한 금융회사」
를 대상으로 회생·정리계획을 작성하는 것이다. 금융회사에게 위기 발생 시 사용될
회생방안을 담은 회생계획(recovery plan)을 미리 마련하도록 강제하는 한편, 정리당국
에게 금융회사 파산 시 적용될 주주·채권자 당사자부담 방안을 포함한 질서 있는 정리
계획(resolution plan)을 작성하도록 요구하는 것이다.


회생·정리계획이 도입될 경우 금융회사 및 정리당국은 위기 상황별로 대응계획
을 사전에 마련하고 정기적으로 이의 실현가능성을 점검함으로써 실제 위기 발생
시 대응능력을 제고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우리나라의 경우「시스템적으로 중요한 글로벌은행」(G-SIBs)이 없기 때문에 향
후 선정될「시스템적으로 중요한 국내은행」(D-SIBs)을 대상으로 회생·정리계획
을 먼저 도입하고 향후 운용경험을 통해 점차 그 대상 확대 여부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회생·정리계획은 금융그룹 손실에 대한 주주·채권자 당사자부담(Bail-in)
방안을 포함하여야 그 도입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국내에는 아직 금융회사에 대한 당
사자부담 제도가 도입되지 않았기 때문에 회생·정리계획 도입의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
해서는 동 제도의 국내도입 방안도 동시에 모색할 필요가 있다.

국내도입 방안도 동시에 모색할 필요가 있다.


본 보고서는 금융산업연구실 임형석 박사가 작성하였다. 익명의 심사위원과 본
연구원 주례세미나에서의 논평은 보고서의 체계개선과 질적 향상에 크게 기여하였다.

수준 높은 심사의견과 건설적인 제안을 한 익명의 심사위원에게 감사를 표시하고자 한다.

 

끝으로 본 보고서의 내용은 모두 집필자의 개인 의견이며 연구원의 공식
견해가 아님을 밝혀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