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10.08
혼자 사는 노인 비율은 강북권 3.2%, 강남권 2.5%
- 서울의 독거노인은 29만 명으로, 인구대비와 고령자 대비 비율 상위 10개 자치구 중 7개 이상이 강북권 위치
- 인구대비와 고령자 대비 독거노인 비율은 종로구가 가장 많고(각각 4.4%, 28.2%), 송파구가 가장 낮아(각각 1.8%, 17.0%)
- 강북권이 강남권보다 인구대비 독거노인 비율은 0.7%p, 고령자 대비 독거노인 비율은 2.6%p 더 높아
표 1. 서울시 독거노인 현황 (단위: 명, %)
구분독거노인인구대비독거노인 비율고령자 대비독거노인 비율구분독거노인인구대비독거노인 비율고령자 대비독거노인 비율서울시서남권도심권동북권동남권강북권서북권강남권
288,599 | 2.8 | 22.2 | 양천구 | 10,178 | 2.1 (22) | 19.5 (22) | |
종로구 | 7,074 | 4.4 (1) | 28.2 (1) | 강서구 | 15,548 | 2.6 (19) | 21.9 (14) |
중구 | 5,528 | 4.1 (3) | 26.8 (2) | 구로구 | 11,732 | 2.6 (18) | 21.1 (20) |
용산구 | 8,520 | 3.5 (4) | 23.7 (8) | 금천구 | 8,070 | 3.2 (10) | 25.0 (7) |
성동구 | 9,025 | 2.9 (15) | 23.0 (12) | 영등포구 | 13,239 | 3.3 (8) | 25.5 (3) |
광진구 | 8,860 | 2.4 (21) | 21.4 (15) | 동작구 | 11,751 | 2.8 (16) | 21.3 (17) |
동대문구 | 12,570 | 3.4 (6) | 23.5 (9) | 관악구 | 15,655 | 3.0 (13) | 23.4 (10) |
중랑구 | 14,184 | 3.4 (5) | 25.4 (5) | 서초구 | 8,811 | 2.0 (24) | 17.3 (24) |
성북구 | 13,643 | 3.0 (14) | 21.3 (16) | 강남구 | 11,218 | 2.0 (23) | 18.1 (23) |
강북구 | 13,760 | 4.2 (2) | 25.5 (4) | 송파구 | 12,081 | 1.8 (25) | 17.0 (25) |
도봉구 | 10,601 | 3.0 (12) | 21.0 (21) | 강동구 | 11,229 | 2.5 (20) | 21.1 (19) |
노원구 | 17,944 | 3.1 (11) | 25.3 (6) | 159,087 | 3.2 | 23.4 | |
은평구 | 16,628 | 3.4 (7) | 23.3 (11) | ||||
서대문구 | 10,482 | 3.2 (9) | 22.0 (13) | 129,512 | 2.5 | 20.8 | |
마포구 | 10,268 | 2.6 (17) | 21.3 (18) |
주: 1) ( ) 안의 숫자는 자치구별 순위를 의미, 2) 고령자는 65세 이상을 말함
자료: 서울통계, 2016년, 서울시 주민등록인구 통계, 서울시 독거노인 현황
청년인구 상위 5위 중 4개가 강남권 집중
- 서울의 20~34세 청년인구는 약 230만 명으로 서울인구 5명 중 1명이 청년층
- 인구대비 청년인구 비율 상위 1위는 관악구로 29.7%가 청년층으로 나타나
- 청년인구 수 역시 관악구가 154,487명으로 가장 많고 다음이 송파구(150,993명), 강서구(142,110명) 순으로 상위 5위 중 4개가 강남권에 위치
표 2. 서울시 청년인구 현황 (단위: 명, %)
구분청년인구인구 대비 비율자치구별 비율구분청년인구인구 대비 비율자치구별 비율서울시서남권도심권동북권동남권강북권서북권강남권
2,303,961 | 22.8 | 100.0 | 양천구 | 94,004 | 19.8 | 4.1 | |
종로구 | 39,505 | 24.1 | 1.7 | 강서구 | 142,110 | 23.4 | 6.2 |
중구 | 31,659 | 23.5 | 1.4 | 구로구 | 93,761 | 21.2 | 4.1 |
용산구 | 55,349 | 22.6 | 2.4 | 금천구 | 56,671 | 22.4 | 2.5 |
성동구 | 74,874 | 23.9 | 3.2 | 영등포구 | 93,929 | 23.4 | 4.1 |
광진구 | 98,220 | 26.4 | 4.3 | 동작구 | 102,283 | 25.0 | 4.4 |
동대문구 | 88,976 | 24.3 | 3.9 | 관악구 | 154,487 | 29.7 | 6.7 |
중랑구 | 90,485 | 21.9 | 3.9 | 서초구 | 92,956 | 20.9 | 4.0 |
성북구 | 100,858 | 22.1 | 4.4 | 강남구 | 125,198 | 22.3 | 5.4 |
강북구 | 66,438 | 20.3 | 2.9 | 송파구 | 150,993 | 22.5 | 6.6 |
도봉구 | 69,787 | 20.2 | 3.0 | 강동구 | 93,472 | 21.2 | 4.1 |
노원구 | 112,604 | 20.2 | 4.9 | 1,104,097 | 22.5 | 47.9 | |
은평구 | 100,248 | 20.4 | 4.4 | ||||
서대문구 | 77,672 | 23.9 | 3.4 | 1,199,864 | 23.0 | 52.1 | |
마포구 | 97,422 | 25.3 | 4.2 |
자료: 서울통계, 2017년, 서울시 주민등록인구(연령별/구별)
노령화지수는 강남권과 강북권 차이 많아
- 유년부양비는 강남권이 강북권보다 높은 반면(1.1p 차이), 노년부양비와 노령화지수는 강북권(각각 2.8p, 27.2p 차이)이 높고 특히 노령화 지수의 격차가 가장 커
- 유년부양비는 서초구가 19.0로 가장 높고, 노년부양비는 강북구(23.6)가, 노령화지수는 중구(178.6)가 가장 높아
표 3. 서울시 부양비 및 노령화지수 (단위: 명)
구분유년부양비노년부양비노령화지수구분유년부양비노년부양비노령화지수서울시서남권도심권동북권동남권강북권서북권강남권
14.9 | 17.9 | 120.1 | 양천구 | 17.4 | 15.5 | 88.6 | |
종로구 | 12.0 | 21.2 | 176.7 | 강서구 | 15.8 | 16.5 | 104.7 |
중구 | 11.8 | 21.1 | 178.6 | 구로구 | 15.6 | 17.8 | 114.1 |
용산구 | 13.8 | 20.2 | 146.1 | 금천구 | 12.6 | 17.5 | 139.3 |
성동구 | 14.4 | 17.4 | 120.9 | 영등포구 | 13.7 | 17.6 | 128.4 |
광진구 | 13.2 | 15.2 | 114.7 | 동작구 | 14.2 | 18.6 | 130.9 |
동대문구 | 13.2 | 20.3 | 154.2 | 관악구 | 11.2 | 17.3 | 154.5 |
중랑구 | 13.5 | 19.0 | 141.0 | 서초구 | 19.0 | 16.1 | 85.1 |
성북구 | 15.7 | 19.7 | 125.5 | 강남구 | 16.1 | 15.2 | 94.5 |
강북구 | 13.3 | 23.6 | 177.3 | 송파구 | 16.7 | 15.0 | 89.9 |
도봉구 | 14.5 | 20.9 | 144.6 | 강동구 | 15.7 | 16.9 | 107.7 |
노원구 | 16.5 | 17.9 | 108.5 | 14.4 | 19.3 | 134.7 | |
은평구 | 15.3 | 20.6 | 134.8 | ||||
서대문구 | 14.0 | 20.4 | 145.7 | 15.4 | 16.6 | 107.5 | |
마포구 | 15.1 | 17.0 | 112.5 |
주: 1) 유년부양비는 생산가능인구(15~64세 인구) 100명 당 유소년인구, (0~14세 인구/15~64세 인구)*100 2) 노년부양비는 생산가능인구(15~64세 인구) 100명 당 65세 인구, (65세 이상 인구/15~64세 인구)*100 3) 노령화지수는 유소년인구(0세~14세 인구) 100명 당 65세 이상 인구, (65세 이상 인구/0~14세 인구)*100
자료: 서울통계, 2017년, 부양비 및 노령화지수(구별)
https://www.si.re.kr/node/60492
서울의 부문별 지역격차 (1) 인구
2017년 기준 서울의 독거노인은 29만 명으로 조사됐다. 인구 대비와 고령자 대비 독거노인 비율은 강남권(2.5%)보다 강북권(3.2%)이 높았다. 혼자 사는 노인 비율 상위 10개 자치구 가운데 7곳 이상이
www.si.re.kr
서울 여성 1인 가구의 주거현황
2020.11.16
연령대에 따라 주거상황도 필요한 주거지원도 달라
2019년 전체 가구 중 여성 1인 가구 비율은 서울 17.7%, 서울 외 전국 14.6%
- 2019년 전체 가구 중 여성 1인 가구 비율은 서울이 17.7%로 서울 외 전국(14.6%)보다 높고, 전체 가구 중 1인 가구 비율도 서울이 33.4%로 서울 외 전국(29.5%)보다 높아
서울 여성 1인 가구 20대에서 가장 빠르게 증가
- 2015년~2019년 서울 여성 1인 가구의 연평균 증감율은 연령대 중 20대가 7.8%로 가장 높고, 그 다음이 60대 이상(6.2%)
표 1. 2019년 유형별 가구 비율(단위: %)
구분1인 가구여성 1인 가구남성 1인 가구서울서울 외 전국
33.4 | 17.7 | 15.7 |
29.5 | 14.6 | 14.8 |
주: 1) 분석에 활용한 인구총조사(2015~2019)자료는 2015년 이후 1년 주기로 갱신되며 행정자료를 활용한 등록센서스 방식으로 집계, 2) 일반가구 대상(집단가구와 외국인으로 구성된 가구 제외)
자료: 통계청, 인구총조사
표 2. 서울 여성 1인 가구 연령대별 연평균 증감율 (2015~2019)(단위: %)
구분20대30대40대50대60대 이상전체내용
7.8 | 3.2 | 1.8 | 0.5 | 6.2 | 4.7 |
자료: 통계청, 인구총조사
서울 30대 이하 여성 1인 가구 ‘직주근접’ 가장 중요, 10명 중 3명 ‘오피스텔·고시원’ 거주
- 서울 30대 이하 여성 1인 가구는 주택 선택 시 ‘직주근접’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으며, 다른 연령대보다 오피스텔과 고시원 거주 비율이 높게 나타나
표 3. 서울 여성 1인 가구가 현재 주택으로 이사한 이유(단위: %)
구분1순위비율2순위비율3순위비율20대30대40대50대60대 이상
직주근접 | 36.5 | 교통·문화시설 | 32.2 | 양호한 시설 | 9.5 |
직주근접 | 27.4 | 교통·문화시설 | 20.0 | 양호한 시설 | 13.6 |
직주근접 | 31.2 | 교통·문화시설 | 16.9 | 양호한 시설 | 12.7 |
양호한 시설 | 20.0 | 교통·문화시설 | 19.1 | 직주근접 | 12.2 |
양호한 시설 | 16.7 | 교통·문화시설 | 11.7 | 가구상황에 따른 주택 규모 | 11.3 |
주: 계약만료 제외
자료: 국토부, 2019, 주거실태조사 마이크로데이터
표 4. 서울 여성 1인 가구의 거주 주택 유형(단위: %)
구분고시원다가구단독주택다세대주택아파트오피스텔기타합계20대30대40대50대60대 이상
9.1 | 37.1 | 17.6 | 6.6 | 23.3 | 6.3 | 100.0 |
5.3 | 24.9 | 24.0 | 15.9 | 23.2 | 6.5 | 100.0 |
1.9 | 40.5 | 20.8 | 20.7 | 9.9 | 6.2 | 100.0 |
3.7 | 31.5 | 22.1 | 32.3 | 4.3 | 6.1 | 100.0 |
0.9 | 32.9 | 16.3 | 42.5 | 1.1 | 6.4 | 100.0 |
주: 기타는 비거주용 건물 내 주택, 연립주택, 영업겸용단독주택, 일반단독주택, 판잣집 등
자료: 국토부, 2019, 주거실태조사 마이크로데이터
서울 30대 여성 1인 가구 65.5% “내 집을 보유해야 한다”
- 서울 여성 1인 가구 중 내 집을 보유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비율은 젊은층에서는 30대 응답률이 상대적으로 높아
30대 이하 절반 이상 ‘월세 살이’, 월세·전세자금 대출 지원 함께 필요
- 서울 30대 이하 여성 1인 가구 절반 이상은 월세로 거주하지만 전세 비율도 20% 이상 차지
- 20대는 월세 보조금, 30대는 전세자금 대출 지원에 대한 선호가 상대적으로 높아
50대 이상도 여전히 ‘전·월세 살이’ 가장 많고, 공공임대주택 수요 높아
- 50대의 77.2%, 60대 이상의 54.4%는 전·월세로 거주, 안정을 원하는 고령층은 공공임대주택 더 원해
표 5. 내 집을 보유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비율(단위: %)
구분그렇다아니다합계20대30대40대50대60대 이상
57.2 | 42.8 | 100.0 |
65.5 | 34.5 | 100.0 |
63.9 | 36.1 | 100.0 |
66.1 | 33.9 | 100.0 |
78.6 | 21.4 | 100.0 |
자료: 국토부, 2019, 주거실태조사 마이크로데이터
표 6. 서울 여성 1인 가구의 주택 점유 형태(단위: %)
구분무상보증금 없는 월세보증금 있는 월세사글세 또는 연세자가전세합계20대30대40대50대60대 이상
2.5 | 13.4 | 55.7 | 1.3 | 3.3 | 23.8 | 100.0 |
3.7 | 8.6 | 46.3 | 0.0 | 3.4 | 37.9 | 100.0 |
1.3 | 1.9 | 46.1 | 0.0 | 19.7 | 31.1 | 100.0 |
0.9 | 5.9 | 41.6 | 0.0 | 21.8 | 29.7 | 100.0 |
6.1 | 1.8 | 24.9 | 0.0 | 39.5 | 27.7 | 100.0 |
자료: 국토부, 2019, 주거실태조사 마이크로데이터
표 7. 서울 여성 1인 가구의 필요한 주거지원 프로그램(단위: %)
구분공공분양주택 공급월세보조금 지원임대 후 분양전환 공공임대주택 공급장기공공임대주택 공급전세자금 대출 지원주택 구입자금 대출 지원기타합계20대30대40대50대60대 이상
4.4 | 23.8 | 4.5 | 12.6 | 44.7 | 7.8 | 2.2 | 100.0 |
5.9 | 11.5 | 0.0 | 7.1 | 57.0 | 15.5 | 2.9 | 100.0 |
1.0 | 15.0 | 5.8 | 9.4 | 39.1 | 25.5 | 4.2 | 100.0 |
11.0 | 11.6 | 12.6 | 32.9 | 24.6 | 5.4 | 2.0 | 100.0 |
5.3 | 15.7 | 9.1 | 33.5 | 21.2 | 9.2 | 6.0 | 100.0 |
자료: 국토부, 2019, 주거실태조사 마이크로데이터
https://www.si.re.kr/node/64147
서울 여성 1인 가구의 주거현황
www.si.re.kr
'도덕윤리환경 >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년 민영아파트, 전국 39만여 가구 분양 (0) | 2021.01.06 |
---|---|
올 1분기 수도권 입주예정 아파트 24% 증가 예상 (0) | 2021.01.06 |
부동산 교란행위 (0) | 2020.12.30 |
정참시] 논란의 '1가구 1주택법'…OO당의 대선 공약? (0) | 2020.12.26 |
매매가 2억500만원 전셋값2억1500만원..'마이너스 갭투자' 등장 (0) | 2020.1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