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경제법률/언론은

2년간 언론중재위원회 53번 불려간 기자, 도대체 무슨 일이

천사요정 2022. 5. 12. 21:32

강화뉴스 박제훈 기자, 강화군 비판 보도로 군청과 갈등
강화군, 강화뉴스 상대로 20-21년에만 53건 언론중재 신청
지역신문발전지원조례 제정 후 군 대변 신생 매체 늘어나

▲Gettyimages.
 

군청의 제소에 2년 간 언론중재위원회에 무려 53번이나 출석해야 했던 기자가 있다. 강화뉴스 박제훈 기자는 미디어오늘과 통화를 하는 와중에도 수원에 있는 언론중재위에 가는 길이라고 했다. 박 기자는 “현재 강화군과 강화뉴스는 속된 말로 언론중재위로부터 찍혀있다”고 표현했다.  

강화뉴스는 1인 기자 체제로 이뤄지는 인천 강화군의 작은 지역언론이다. 2012년 창간돼 시민사회 단체 조합원 출자 회비로 운영되는 협동조합으로, 취재기자는 박제훈 기자 한 명이다. 미디어오늘은 지난 19일 박 기자로부터 강화군과 강화뉴스 사이의 기나긴 싸움에 대한 이야기를 들었다. 

강화군, 강화뉴스 상대로 2020-21년 53건 언론조정신청…대부분 군 비판보도

지방자치단체의 언론중재위 조정(중재)신청 현황자료에 의하면 2020-21년 강화군은 강화뉴스(지면, 인터넷 포함)를 상대로 53건의 언론조정신청을 했다. 전국 지자체 중 가장 많은 숫자다. 2020년도에는 25건의 언론조정신청 중 6건이 조정불성립됐다. 조정불성립이란 언론중재위에서 조정신청을 받아들이지 않는 것이다. 

▲ 강화뉴스 로고.

대부분은 강화뉴스의 강화군 비판 보도에 대한 정정 및 반론보도 신청이다. 

일례로 강화뉴스는 ‘우리집 부수려면 군수집 먼저 부셔라, 거기가 길이 더 좁다’(2021.9.29) 기사에서 기존 현황도로를 8m로 넓히는 도로개설 사업으로 인해 집을 수용당할 처지에 놓인 주민의 사연을 전했다. 

강화군은 “강화뉴스가 마치 특정인에게는 특혜를 주고 특정인에게는 피해를 입히는 목적의 도로를 개설한 것처럼 보도했다”다며 조정신청을 했다. 관련 만평에 대해서도 “‘누구는 쪽박’이라는 문구로 마치 특정인에게 피해를 주는 사업인 것처럼 표현하여 행정 신뢰도를 추락시켰다”며 조정 신청을 했지만, 언론중재위는 강화뉴스가 취재한 도로 확장의 문제점과 주민들의 피해 사례에 대한 답변을 들은 후 두 사안에 모두 조정불성립을 결정했다. 

▲ 강화뉴스 강화만평 갈무리.

‘명백한 법위반 행위 모른척하는 강화군 공무원들’(2021.3.12) 기사에서는 북산공원 조성과 관련해 해당지역에서 구조물을 설치했다는 이유로 형사처벌된 인근 주민 사례를 소개하며, 똑같은 행위를 한 Y씨에 대해서는 조치를 취하지 않은 강화군에 대해 문제제기했다. 

강화뉴스는 “(강화군 공무원은) 명백한 불법행위를 확인하기 위한 질의민원에 대해 정확한 답변을 고의적으로 회피하고 있다”며 “강화군의 부지 수용 과정에서 특혜 보상 의혹을 받고 있는 전직 공무원 출신 Y씨가 군수 친인척으로 알려져 있다”고 덧붙였다. 

이에 강화군은 “Y씨가 군수의 친인척이 아님에도 친인척인 것으로 오해될 수 있다”며 언론중재위에 정정보도를 신청했고, 정정보도는 이뤄졌다. 박 기자는 “지역사회에서는 친인척으로 다 알고 있지만, 증명할 방법이 없어 정정보도를 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Y씨 행위가 명백한 법위반 행위로 보임에도 왜 관련 조치를 취하지 않는지에 대해 강화군이 지금까지 해명 혹은 입장을 밝히지 않았다는 게 중요한데 정작 중요한 것은 밝히지 않으면서 친인척 여부만을 따지는 이유가 이해되지 않는다”고 했다. 

▲ 강화군 홈페이지 보도자료 갈무리.

강화군 관계자는 해당 기사와 관련한 보도자료를 내고 “언론은 하이에나 저널리즘이라고 비판받기도 하는데, 이는 보도 대상이 조금이라도 약점을 보이면 비판의 명분을 앞세워 끝까지 비판을 위한 비판기사를 양산하는 보도형태를 의미한다”고 했다.

이어 “최근 지역의 한 언론사도 비판이라는 목적만 강조하다 보니 사실 확인이 소홀한 것 같다”며 “잘못된 보도로 인한 피해자는 심각한 명예훼손과 인격권 침해를 입게 되며, 정정보도로는 이를 회복하기 어려운 것이 실정으로 진솔한 사과가 먼저다”라고 했다. 강화군과 강화뉴스의 반복되는 갈등의 단면이다.  

“반복되는 언중위 회부로 취재 업무 어려울 정도”

박 기자는 반복되는 언론중재위 중재 신청으로 겪는 어려움을 토로했다. 박 기자는 “한 달에 한 두 번씩 가는 꼴이다. 하루의 반은 언론중재위에 반박자료를 내기 위해 업무를 하지 못할 정도”라고 밝혔다. 

수원 언론중재위 역시 강화군의 정정 및 반론 보도 요청 심리 신청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계속 이렇게 반복할 거면 언론중재위에 오지 말고 소송으로 하세요.” 수원 언론중재위 중재부장은 강화군청 관계자와 박 기자가 있는 자리에서 한 말이다. 중재부장은 “언론중재위가 관할하는 지역 중 인구로는 가장 적은 곳에서 가장 많은 심리건수를 차지하고 있다”고도 말했다.

강화군 취재도 어려운 상황이다. 박 기자는 “취재와 관련해 공무원에게 전화를 하면, 공무원이 답변을 하지 않고 문서로 질의하거나 공보관을 통하라고 한다. 공보관을 통하면 공보관도 문서로 질의하라고 한다”고 말했다. 고육지책으로 찾아낸 박 기자의 주 취재 방법은 정보공개청구와 국민신문고 민원이다. 

이렇듯 답변을 주지 않아 기사에 반론을 싣지 못했다고 적시했으나, 이를 두고 반론보도를 이유로 언론중재위에 회부되는 경우도 많다. 박 기자는 “반론 보도 결정이 나는 대부분이 일부러 취재를 안 한게 아니라, 취재에 응하지 않았던 것”이라고 주장했다. 

박 기자는 “사람들은 정정보도, 반론보도를 구체적으로 구분하지 않기에, 강화군은 강화뉴스가 언론중재위에 회부됐다는 사실만으로 강화뉴스가 가짜뉴스를 내보낸 것처럼 호도하며 악용해왔다”며 “심지어 강화군 소식지에 강화뉴스 언론중재위 회부 소식을 실으며 비판해 언론중재위에서 ‘다음부터 이런 게재를 하면 불이익을 당할 것’이라고 경고한 적도 있다. 이후에는 언론중재위에 건의해 중재문에 아예 ‘다른 목적으로 언론중재위원회 결과를 활용하지 않는다’는 문구를 넣었다”고 말했다. 

언론중재위를 가기 전 강화뉴스를 통해 직접 항의해달라고 여러번 밝혔지만 효과는 없었다. 박 기자는 “강화군은 언론보도로 인한 당사자 간의 분쟁을 조정·중재하는 역할을 위해 만들어진 언론중재위를 오히려 분쟁을 만들고 괴롭히는 수단으로 이용하고 있다. 언론중재위의 존재 의의를 부정하고 업무 피로도를 가중시키는 일이기도 하다”라고 비판했다. 

▲ 강화군청 공무원들이 보조금 사업 지원 대상으로 선정된 언론사에 기고한 글 헤드라인 갈무리.

박 기자는 강화군이 ‘강화군 지역신문발전지원 조례’를 만들어 지역 언론사 3곳을 지원하며 군청에 유리한 기사를 통해 여론을 호도하고, 강화뉴스를 반박하는 보도를 내고 있다고도 주장했는데, 공무원 기고가 대표적이다. 3개 매체는 강화군 소속 공무원들의 기고를 꾸준히 싣고있다. 군청을 향한 의혹 제기에 반박하는 내용이 주를 이뤘다. 

박 기자는 “지역신문 발전을 위한 조례를 이용해 되려 지역신문을 압박하는 구조를 만들어낸 것”이라며 “금액도 적지 않아 해당 언론사들은 강화군의 영향을 안 받을 수가 없다. 실질적으로 강화군 소식지가 될 수밖에 없다. 실제로 대부분이 보도자료로 채우고 군 입장만 대변하는 기사를 내보내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지역이기에 다른 곳에서는 허용안될 일들이 허용되기도 하고, 불합리한 일들이 주목받지 못하기도 한다”며 “열악한 조건이지만 지역이야말로 권력을 견제하고, 주민들의 소식을 전하는 올바른 언론이 진짜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강화군청 관계자는 이와 관련해 19일 미디어오늘과 통화에서 "해당 기자의 생각일 뿐“이라며 ”강화군은 지역 언론을 활성화하고 국민들이 지역 언론을 통해 정보를 받을 수 있게 하기 위해 해당 지원 조례를 만든 것이고, 이에 맞춰서 지원하는 것“이라고 했다. 

 

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303588 

 

2년간 언론중재위원회 53번 불려간 기자, 도대체 무슨 일이 - 미디어오늘

군청의 제소에 2년 간 언론중재위원회(언론중재위)를 53번을 간 지역 신문 기자가 있다. 강화뉴스 박제훈 기자는 미디어오늘과 통화를 하는 와중에도 수원에 있는 언론중재위에 가는 길이라고

www.media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