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자체 의뢰 컨설팅 결과와 지난해 교육부 종합감사 ‘닮은꼴’ 안민석 의원 “징계도 없이 덮어”
서울대 정문. 김태형 기자 xogu555@hani.co.kr
최근 교육부 종합감사에서 연구비 사적 유용 등 교직원 666명의 비위가 적발된 서울대가 11년 전 자체 의뢰한 컨설팅에서도 법인카드 부당사용, 연구비 부실 관리 등 다수의 비위를 확인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하지만 이런 결과에도 당시 징계를 받은 교직원은 1명도 없었다.
서울대가 그동안 내부 구성원들의 도덕적 해이를 방치한 것 아니냐는 비판이 나온다.14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안민석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서울대로부터 받은 자료를 종합하면, 서울대는 2011년 법인 전환을 앞두고 삼일회계법인에 ‘서울대학교 산하 기관 업무프로세스 및 경영감사 개선’ 컨설팅을 의뢰했다.
당시 서울대·삼일회계법인 등은 60명의 인원을 투입해 3개월 동안 서울대 산하 연구기관 20곳과 부속시설 6곳, 법인 및 기타 4곳 등 30곳을 분석했다.컨설팅 결과 연구시설에서 91건, 부속시설·법인에선 43건의 리스크가 발견됐다. 특히 세출과 관련해 재료비·기타경비 부당 지출, 인건비·내부연구비·출장비 부당 지급이 가장 큰 리스크로 지목됐다.
구체적으로 출장비를 중복 청구하거나 연구소를 퇴직한 교수에게 근거 자료도 없이 2100만원에 달하는 자문료를 지급하고 연구비가 지급되었음에도 연구 산출물이 없거나 부실한 사례 등이었다. 연구용역비가 기관장 개인 통장으로 지급된 뒤, 연구원을 통해 정산하는 절차가 없는 경우도 있었다.
법인카드 사용과 관련해선, 유흥주점·골프장·사우나 거래건이 확인됐고, 평일 밤 11시부터 새벽 5시 사이에 발생한 거래건도 있었다.하지만 서울대의 징계는 ‘0건’이었다. 서울대는 안민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