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담대 3억 받으면 원리금 매월 164만원
중소기업 근로자 월급의 67% 빚 상환해야
한은 기준금리 최소 두 차례 더 인상 관측
우리나라 가계대출 70% 이상 변동금리
[사진 제공 = 연합뉴스]
중소기업 근로자 월급의 67% 빚 상환해야
한은 기준금리 최소 두 차례 더 인상 관측
우리나라 가계대출 70% 이상 변동금리
수도권에 내집을 마련한 40대 직장인 A씨는 마냥 즐겁지 만은 않다. 가용할 수 있는 대출을 모두 끌어다 받은 소위 '영끌'을 했는데 30년을 상환해야 하는 이자부담에 숨이 막히기 때문이다. 최근 주변 집값 상승세가 주춤한데 꼭지점에 달해 집을 산 건 아닌지 불안하기도 하다. 앞으로 일할 수 있는 날이 길게 보면 15년인데 빚은 15년 이상 더 갚아야 하는 상황에 이자 생각만 하면 걱정이 밀려온다.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지난 26일 기준 신한, KB국민, 우리, 하나, NH농협 등 5대 시중은행에서 취급 중인 30년 만기, 원리금 균등 분할 상환, 변동금리 조건의 주택담보대출(주담대) 금리는 연 3.71%~5.21%이다.
만약 주담대 3억원을 이 조건으로 빌려 최저 금리를 적용하면 30년 동안 매월 138만원을 상환해야 하고 총 대출이자는 1억9771만원이다. 금리 상단인 연 5.21%에 대출을 한다면 매월 164만원을 갚아야 하고 총 대출이자는 2억9370만원으로 대출원금 3억원에 육박한다.
지난해 통계청이 발표한 임금근로자 소득 통계를 보면 대기업 근로자는 월평균 515만원, 중소기업 근로자는 245만원을 벌었는데, 중소기업 근로자의 경우 5대 시중은행 중 주담대 최저 금리(연 3.71%)를 적용해도 월급의 절반 이상인 56%를 집값을 갚는데 써야한다는 계산이 나온다. 만약 금리 상단(연 5.21%)으로 대출을 했다면 월급의 67%가 은행 빚을 갚는데 빠져 나간다.
[사진 제공 = 연합뉴스]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지난 26일 기준 신한, KB국민, 우리, 하나, NH농협 등 5대 시중은행에서 취급 중인 30년 만기, 원리금 균등 분할 상환, 변동금리 조건의 주택담보대출(주담대) 금리는 연 3.71%~5.21%이다.
만약 주담대 3억원을 이 조건으로 빌려 최저 금리를 적용하면 30년 동안 매월 138만원을 상환해야 하고 총 대출이자는 1억9771만원이다. 금리 상단인 연 5.21%에 대출을 한다면 매월 164만원을 갚아야 하고 총 대출이자는 2억9370만원으로 대출원금 3억원에 육박한다.
지난해 통계청이 발표한 임금근로자 소득 통계를 보면 대기업 근로자는 월평균 515만원, 중소기업 근로자는 245만원을 벌었는데, 중소기업 근로자의 경우 5대 시중은행 중 주담대 최저 금리(연 3.71%)를 적용해도 월급의 절반 이상인 56%를 집값을 갚는데 써야한다는 계산이 나온다. 만약 금리 상단(연 5.21%)으로 대출을 했다면 월급의 67%가 은행 빚을 갚는데 빠져 나간다.
문제는 앞으로 금리가 오른다는 데 있다.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지난해 8월과 11월, 올해 1월까지 거침없이 올리고 있는 데다 연내 추가 인상도 최소 두 차례나 예상되고 있다. 우리나라 가계대출의 70% 이상이 변동금리 대출인 점을 감안하면 영끌, 빚투를 한 경우 금리인상기 직격탄을 맞을 수 있다.
가계대출 금리는 '대출 기준금리+가산금리'로 결정된다. 대출 기준금리는 은행들의 자금조달 비용을 근거로 코픽스(COFIX), 금융채·CD 금리 등을 사용한다. 가산금리는 업무원가, 법적비용, 위험프리미엄 등 다양한 요소로 구성되며, 신용점수별 예상 손실률 변화 등에 따라 결정된다. 이런 구조의 가장 기본은 한은의 기준금리다.
앞서 한은은 코로나19 사태로 불황 극복을 지원을 위해 기준금리를 사상 최저 수준인 연 0.50%까지 내렸고, 이후 경기회복 과정에서 세 차례 금리를 올려 기준금리는 현재의 연 1.25%에 이르고 있다. 한은은 기준금리가 연 0.50%에서 1.25% 수준이 됐을 경우 가계의 연간 이자부담이 총 9조6000억원 늘어나는 것으로 추정했다. 이를 1인당 연간 이자부담 규모로 환산하면 금리 상승 전(연 0.5%) 289만6000원에서 인상(1.25%) 후 338만원으로 48만4000원 오른다. 이는 모든 차주가 동일한 비율로 변동금리 대출을 보유하고 있다는 전제로 산출한 것이기 때문에 개인마다 편차가 크다.
가계대출 금리는 '대출 기준금리+가산금리'로 결정된다. 대출 기준금리는 은행들의 자금조달 비용을 근거로 코픽스(COFIX), 금융채·CD 금리 등을 사용한다. 가산금리는 업무원가, 법적비용, 위험프리미엄 등 다양한 요소로 구성되며, 신용점수별 예상 손실률 변화 등에 따라 결정된다. 이런 구조의 가장 기본은 한은의 기준금리다.
앞서 한은은 코로나19 사태로 불황 극복을 지원을 위해 기준금리를 사상 최저 수준인 연 0.50%까지 내렸고, 이후 경기회복 과정에서 세 차례 금리를 올려 기준금리는 현재의 연 1.25%에 이르고 있다. 한은은 기준금리가 연 0.50%에서 1.25% 수준이 됐을 경우 가계의 연간 이자부담이 총 9조6000억원 늘어나는 것으로 추정했다. 이를 1인당 연간 이자부담 규모로 환산하면 금리 상승 전(연 0.5%) 289만6000원에서 인상(1.25%) 후 338만원으로 48만4000원 오른다. 이는 모든 차주가 동일한 비율로 변동금리 대출을 보유하고 있다는 전제로 산출한 것이기 때문에 개인마다 편차가 크다.
전종헌 매경닷컴 기자(cap@mk.co.kr)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9/0004915976?sid=101
'도덕윤리환경 >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위험선 뚫렸다" 미분양 9년 만에 최대.. "이러다 다 죽어" 건설사 '패닉' (0) | 2023.02.01 |
---|---|
역전세 막는다…소득 1억원· 9억 초과 1주택자도 전세대출 받는다 (0) | 2023.01.31 |
분양보증사고 발생, 대주단협의체 (0) | 2023.01.27 |
서울 '분양가 5억' 아파트도 안 팔린다...미분양 1000채 육박 (0) | 2023.01.27 |
공시가보다 낮은 '하락거래' 급증…절반이 '직거래' 이유는? (0) | 2023.0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