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스플랑크 硏, 네이처에 논문
기존 ‘유목민 가설’ 뒤집어… 튀르크·몽골어와 뿌리 같아
한국어가 투르크어, 몽골어, 일본어와 함께 9000년 전 신석기시대에 지금의 중국 동북부에 살았던 농경민에서 비롯됐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는 기존의 유목민 가설을 뒤집는 것이다. 지금까지는 그보다 수천 년 뒤에 중앙아시아 유목민들이 전 세계로 이주하면서 비슷한 체계를 가진 언어들이 퍼졌다고 알려졌다.
독일 막스플랑크 인류사연구소의 마티너 로비츠 박사 연구진은 “언어학과 고고학, 유전학 연구 결과를 종합 분석한 결과 유럽에서 동아시아에 이르는 트랜스유라시아 어족(語族)이 신석기시대에 중국 랴오허강(遼河·요하) 일대에서 기장 농사를 짓던 농민들이 이주하면서 형성됐음을 확인했다”고 11일 국제 학술지 ‘네이처’에 밝혔다.
이번 연구에는 독일과 한국·중국·일본·러시아 등 10국에서 언어학자, 고고학자, 유전생물학자 41명이 참여했다. 한국외국어대의 이성하 교수와 안규동 박사, 동아대의 김재현 교수, 서울대의 매튜 콘테 연구원 등 국내 연구진도 논문에 공저자로 등재됐다.
트랜스유라시아 어족은 알타이 어족이라고도 한다. 서쪽의 투르크어에서 중앙아시아의 몽골어와 시베리아의 퉁구스어, 동아시아의 한국어, 일본어로 구성된다. ‘보글보글, 부글부글’처럼 앞 음절의 모음과 뒤 음절의 모음이 같은 종류끼리 만나는 모음조화가 나타나고, ‘나는 밥을 먹는다’처럼 주어, 목적어, 서술어 순으로 말을 한다.
연구진은 특정 문화와 무관한 ‘들판, 돼지, 집’ 같은 단어들을 비교해 언어의 계통도를 작성했다. 이 단어들의 기원은 9200년 전 기장 농사를 짓던 농민들로 거슬러 올라갔다. 동시에 8500~2000년 전 중앙아시아와 동아시아의 고고학 유적지 255곳에서 발굴된 토기와 농작물, 장례 유적을 분석했다. 농업의 전파 과정은 원시 트랜스유라시아 언어가 퍼진 경로와 일치했다. 마지막으로 시베리아와 몽골·중국·한국·일본·대만에서 9000~300년 전 살았던 사람 23명의 유전자를 비교했다.
세 가지 정보를 종합한 결과 약 9000년 전 요하 계곡에서 기장을 재배하던 농민들이 지금의 트랜스유라시아 어족의 공통 조상으로 밝혀졌다. 이는 3000~4000년 전 중앙아시아 초원지대에서 발원한 유목민이 이주하면서 트랜스유라시아어가 퍼졌다는 ‘유목민 가설’을 뒤집는 결과이다. 로비츠 교수는 “기장 농업이 발달하면서 인구가 늘었고 그들의 언어도 세계로 퍼진 것”이라고 밝혔다. 호주국립대의 피터 벨우드 교수는 이날 네이처에 발표한 논평 논문에서 “설득력 있는 연구 결과”라며 “언어는 절대 혼자 움직이지 않고 말하는 사람들이 퍼뜨리기 때문에 영역이 넓어진다”고 밝혔다.
https://www.chosun.com/culture-life/relion-academia/2021/11/12/UUGNSMSC7NBTJBJFSWVD3P5BDU/
'도덕윤리환경 > 역사는' 카테고리의 다른 글
1년새 7차례 금리 올린 `1994년 대학살`…한국 또 희생양? 2016-12-14 (1) | 2023.05.10 |
---|---|
일본경제 디플레이션의 교훈 (0) | 2023.02.28 |
원래 차례상 '전통'은 이렇다…소박한 퇴계 이황의 차례상 (2) | 2023.02.02 |
이자의 역사 (0) | 2023.01.30 |
72년 만에 드러난 유해..진주 집단학살 확인 (0) | 2022.06.07 |